안녕하세요. 서비스엔지니어링본부 QA팀 마크탕입니다.

img

쏘카 QA팀은 쏘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보증(QA, Quality Assurance)을 담당합니다. (QA 업무가 궁금하시면 카밀라의 테크 블로그를 참고하세요.)

쏘카 입사 전에는 QA 기술 영역을 노력과 재능으로만 판단해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기보다 “ ~가 유행이다”라는 소문에 휩쓸려 불확실한 대상을 탐구하느라 시간을 낭비했습니다. 이런 어려움을 겪는 건 저만의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쏘카 입사 전 직장에서 주니어 경력의 QA 엔지니어 면접관 업무를 했는데, 많은 지원자가 꼼꼼하게 이슈를 많이 찾아내는 것을 QA 업무의 본질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저도 그렇고 지원자들도 ‘QA는 꼼꼼하고 이슈를 많이 찾아야 한다.’는 고정관념에 묶여 자신의 강점을 100% 표현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이런 시행착오를 겪는 분들을 위해 레드게이트(redgate)에서 제공하는 테스트 엔지니어 스킬 맵(Test Engineering Skill Map)를 소개합니다.

쏘카 QA팀은 QA 엔지니어에게 필요한 스킬의 방향성을 제공하는 레드게이트 스킬 맵을 참고해 기술 역량과 평가를 구조화했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솔루션과 프레임워크가 있습니다. 회사의 기업가치와 팀의 방향성을 고려해 적합한 모델을 선택하고, 조직 특성에 맞게 수정 보완해 사용하시길 권합니다.)

본문은 QA 스킬을 ‘전문 영역(Specialist)’, ‘제품·도메인 영역(Product·Domain)’, ‘리더십 영역(Leadership)’, ‘프로젝트 영역(Project)’으로 분류해 설명했습니다. QA 엔지니어로써 자신의 강점을 파악하는데 참고하고 보완할 점을 확인해 명확한 목표를 세울 수 있습니다.


[목차]

  1. QA 스킬(QA SKILLS)
    1. 전문영역(SPECIALIST)
      1. 말하기&쓰기(Speaking&Writing)
      2. 개발 기술(Technical)
      3. 테스트 디자인(Test Design)
    2. 제품·도메인 영역(PRODUCT·DOMAIN)
      1. 결함 관리(Defect Management)
      2. 학습(Learning)
      3. 논리&합리성(Logic&Rational Thought)
    3. 리더십 영역(LEADERSHIP)
      1. 테스트 접근 방법(Test approach)
      2. 협업 기술(Social Skills)
      3. 의사소통(Communication)
    4. 프로젝트 영역(PROJECT)
      1. 일정 관리(Time Management)
      2. 위험성 관리(Risk Management)
      3. 계획(Planning)
  2. 나는 어떤 강점이 있는 QA 엔지니어일까?
    1. 목표는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
  3. 쏘카에서 마크탕은 계속 성장하고 있습니다.
    1. 마크탕의 현주소는?
    2. 마크탕의 목표?
  4. 마무리하며…

1. QA 스킬(QA Skills)

img

QA 스킬을 검색을 해보면 다음과 같이 수많은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img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테스팅 인증 기관 ISTQB(International Software Testing Qualifications Board)와 유명 기업이 제공하는 수많은 스킬 맵에는 QA 엔지니어에게 필요한 공통 스킬이 있습니다. 종사하는 분야와 회사 특성에 맞게 스킬을 선택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레드게이트의 스킬 맵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img

A. 전문가 영역(SPECIALIST)

i. 말하기&쓰기(Speaking&Writing)

‘말하기&쓰기’는 알고 있는 지식과 기술을 발표하거나 문서로 공유하는 정보 전달 능력입니다. ‘쓰기’는 기술 문서나 QA 관련 문서(QA Plan, QA Report 등)를 작성하는 능력입니다. 문서를 작성할 때는 독자 수준을 고려해야 하고 목적에 맞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야 합니다. ‘말하기’는 작성한 문서를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청중에게 전달하는 능력입니다. 작은 스터디 그룹부터 외부 컨퍼런스에서 정보를 전달할 때 장소, 청중, 시간 등을 고려해 효과적으로 전달해야 합니다.

ii. 개발 기술(Technical)

‘QA 개발 기술’은 다음 세 가지 역량이 필요합니다.

  1. 코드의 내부 구조와 동작을 이해하는 능력 : 소프트웨어 특성을 파악하고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합니다.
  2. 디버깅 및 로깅에 대한 지식 : 오류나 버그를 식별하고 테스트 결과를 분석합니다.
  3. 자동화 테스트에 대한 경험 : 단순 반복적인 테스트 작업을 줄이고 시간을 절약합니다.

위 세 가지 개발 기술을 보유한 QA 엔지니어는 소프트웨어를 더 깊이 파악하고 높은 품질의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습니다.

iii. 테스트 디자인(Test Design)

‘테스트 디자인’은 테스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과 전략을 이해하고, 이를 적용해 테스트를 계획하고 설계하는 능력으로, 다양한 기술 도구와 지식이 필요합니다. QA 엔지니어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꼭 필요한 기술로써, 테스트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QA 엔지니어는 문제를 해결할 때 다음과 같이 접근합니다.

  1. 문제를 어떻게 처리할지 결정합니다. (Selecting Heuristics)
  2. 블랙박스 기술(Black box techniques : 동등 분할, 경계값 분석, 오류 예측, 의사결정 테이블 테스팅, 상태 전이 테스팅 등)
  3. 화이트박스 기술(White box techniques: 문장, 분기, 경로, 조건 검증 등)
  4. 블랙박스·화이트박스 방법을 어떻게 조합해서 테스트할 지 디자인합니다.
  5. 테스트 차터(Test charter, 탐색적 테스팅에서 테스트의 범위와 목적, 테스트 방법 등을 정의하기 위한 테스트 참조 문서)를 작성합니다. (Chartering)

위 단계를 복합해서 수행하는 능력이 테스트 디자인입니다.

B. 제품·도메인 영역(PRODUCT·DOMAIN)

i. 결함 관리(Defect Management)

‘결함 관리’는 제품에서 발견한 결함을 파악하고 원인을 분석해 적절한 해결책을 찾아내는 종합적인 능력입니다. QA 엔지니어는 결함을 발견했을 때 아래 과정을 통해 문제를 파악·분석하고 공유하게 됩니다.

  1. 근본 원인 분석(Root cause analysis)
  2. 심각도·우선순위 식별(Severity·Priority identification)
  3. 결함 보고(Defect report)

QA 엔지니어는 결함을 재현하는 과정에서 문제의 근본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심각도·우선순위를 판단해 결함 보고서를 작성합니다. 심각도·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문제 해결 방법을 제시하고, 해당 결함을 해결하기 위한 근거를 찾아 이해관계자를 설득하는 능력도 필요합니다. 결함 관리는 제품 품질 뿐만 아니라 일정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과감하게 결정하고 종합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ii. 학습(Learning)

‘학습’은 QA 엔지니어에게 업무와 관련된 모든 항목을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하는 과정입니다. 학습은 다음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1. 관찰(Observation): “이건 무엇일까?”와 같이 적극적인 태도로 상황을 파악합니다.
  2. 질문(Asking questions): “왜 이렇게 동작할까?” 또는 “왜 이렇게 기획된 걸까?”와 같이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질문합니다.
  3.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기존 동작과 차이가 있는데 왜 그럴까?”와 같이 분석적 사고를 바탕으로 문제를 탐색합니다.

위 세 가지 요소를 적용해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면서 겪는 시행 착오와 경험이 QA 엔지니어의 학습 능력의 바탕이 될 것입니다.

iii. 논리&합리성(Logic&Rational Thought)

‘논리&합리성’은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합리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입니다. 결함을 발견하고 문제를 해결할 때, 적절한 추론과 판단으로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는 것입니다. 이때 연역적 추론(Deductive reasoning)과 귀납적 추론(Inductive reasoning) 능력이 모두 필요합니다.

연역적 추론은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을 전제로 새로 알게 된 사실을 추리하는 능력입니다. 귀납적 추론은 일련의 사실을 기반으로 일반적인 결론을 도출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과거에 발생한 결함을 조사해 패턴을 파악하고, 새로운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이 귀납적 추론입니다.

논리&합리성은 문제 해결 능력뿐 아니라 제품·도메인에 대한 이해와 분석 능력도 필요로 합니다. 제품이나 도메인의 구조, 흐름, 상호작용 등을 이해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문제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즉 논리&합리성 능력은 제품·도메인 이해와 분석 능력과 함께 추론 능력도 필요합니다.

C. 리더십 영역(LEADERSHIP)

i. 테스트 접근 방법(Test approach)

‘테스트 접근 방법’은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과 접근 방식을 판단하고 결정하는 능력입니다. 테스트 접근 방법은 개발 능력도 중요하지만, 빠른 판단과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리더십도 중요합니다. 목표를 설정할 때 테스트 접근 방법은 일종의 전략입니다.

테스트 접근 방법은 목표를 설정하고, 테스트 프로세스를 관리하며, 팀 내 다른 구성원들과 협력해 테스트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입니다. 테스트 접근 방법은 ‘개발 기술(Technical)’ 항목에 포함될 수 있고, ‘리더십(Leadership)’ 항목에 포함될 수도 있습니다. 근무 환경과 상황에 맞는 항목을 추가해 목표를 설정하면 됩니다.

테스트 접근 방법으로 유사한 제품군을 비교 분석헤서 결정하거나 벤치마킹할 수도 있고, BDD(Behavior Driven Development, 행위 주도 개발)·ATDD(Acceptance Test Driven Development, 인수 테스트 주도 개발) 같은 자동화 테스트(Automated Testing)를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결국 최종 의사 결정 하는 능력은 리더십입니다.

ii. 협업 기술(Social Skills)

QA 엔지니어의 ‘협업 기술’은 동료들과 잘 협업해서 결과의 시너지를 내는 능력입니다. 물론 혼자 처리해야 하는 업무는 주도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때로 PM·개발·디자이너 등의 구성원들과 협업할 수 없는 상황에선 QA 엔지니어가 다른 직무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도 겸비해야 합니다.

QA 엔지니어는 업무 전반을 이해하고, 다른 팀·조직과 소통하면서 문제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의사소통(Communication) 능력과 관계 관리(Relationship management) 능력, 여러 협업 툴과 플랫폼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개발 기술(Technical) 능력도 협업 기술에 포함됩니다.

iii. 의사소통(Communication)

‘의사소통’은 막연하게 ‘말을 잘 한다, 누군가와 말이 잘 통한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소통을 할 때는 의사 전달 목적이 뚜렷해야 하며, 전달하는 내용은 정확하고 누구나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일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공유하거나, 진행 상황 모니터링(Monitoring Progress)으로 가시성을 높이는 것도 QA 엔지니어에게 필요한 의사소통 역량입니다.

의사소통 역량을 높이기 위한 가장 쉬운 방법은 ‘질문하기(Asking Questions)’입니다. 내 질문을 상대방가 잘 이해를 못한다면, 잘못된 질문을 했거나 상대를 배려하지 않은 언어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각자 자라온 환경이 다르고 배경 지식이 다르기 때문에 상대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선택하고, 상대의 감정을 상하지 않도록 배려하는 소통을 해야 합니다. 전문 용어를 함께 정의하거나 공유한 다음 사용하는 배려도 필요합니다.

의사소통의 화룡점정은 ‘쓴소리하기(Giving difficult feedback, 건설적인 피드백)’를 기분 나쁘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협업을 하다 보면 피드백을 주고 받게 됩니다. 상대방이 상처받지 않도록 부드럽게 우회해서 말하는 기술도 필요하지만, 때로는 직설적으로 쓴소리를 해야 될 때도 있습니다. 어떤 화법이든 근거를 바탕으로 피드백 해야 상대가 수긍하고 개선하고 싶은 의지가 생깁니다.

D. 프로젝트 영역(PROJECT)

i. 일정 관리(Time Management)

QA 엔지니어에게 ‘일정 관리’는 가장 기본이면서 중요한 스킬입니다. 일정 관리는 우선순위와 심각도에 따라 일정을 계획하고, 일정을 효율적으로 처리해가는 능력입니다. 데드라인 있는 업무라면 일정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는 데드라인을 지키는 것입니다.

ii. 위험성 관리(Risk Management)

‘위험성 관리’는 ‘위험 관리(Risk Control)’와 ‘위험 평가(Risk Assessment)’를 포함합니다. 위험성 관리는 발생 가능성(Likelihood·Probability), 긴급성(Urgency), 심각성(Serverity)을 고려해 검증 대상을 나열하고, 계획을 수립하면서 지속적으로 위험성을 관리·평가하는 능력입니다. 검증 대상의 범위를 한정하면 비용은 절감할 수 있겠지만, 범위 밖에서 오류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집니다.

위험성관리 설명
발생가능성 검증 대상과 관련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을 말한다.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 새로운 기술, 솔루션, 방법론의 적용, 프로젝트 참여인원이 과다하게 많은 경우 의사소통 장애 등이 있습니다.
긴급성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얼마나 시급한 수정이 필요 한가에 따라 내규를 정하고 분류하고 대처합니다.
심각성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며, 내규를 정하고 분류하여 대처합니다.

iii. 계획(Planning)

QA 업무에서 ‘계획’은 프로젝트의 성패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만약 테스트 계획이 부실하거나 미흡하면, 테스트의 효율성과 완성도가 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프로젝트를 실패로 이끌 수도 있습니다. QA 엔지니어는 계획 단계에서 프로젝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측하고 여러 시나리오를 고려해 대비해야 합니다.

계획 단계에서 QA 엔지니어는 프로젝트의 범위, 우선순위, 테스트 견적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고려해 QA 일정을 수립합니다. 이때 테스트 수행에 필요한 리소스, 시간, 비용 등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이는 프로젝트의 성패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고, 이후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평가할 때도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자세한 설명은 카밀라가 작성한 테크 블로그 “분석 & QA Plan작성”를 참고하세요.)

2. 나는 어떤 강점이 있는 QA 엔지니어일까?

img

위 그림은 앞서 설명한 QA 스킬을 기반으로 어떤 강점을 가진 QA 엔지니어인지 보여 줍니다.

  • SPECIALIST▲ PRODUCT·DOMAIN▲
    • ‘Tech·UX 전문가(Tech·UX)’는 기술(Tech)과 사용자 경험(UX) 분야에 높은 지식과 경험을 갖춘 전문가입니다. 제품·도메인에 대한 깊은 이해와 전문성, 그리고 기술과 UX 디자인 능력은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 SPECIALIST▲ LEADERSHIP▲
    • ‘QA 분야 리더(Area Lead)’는 품질 관리 분야에서 리더십을 발휘하는 전문가입니다. 전문성과 리더십 역량을 바탕으로 QA팀에서 일관된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구성원(팀원보다 더 확장된 개념)이 성장하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LEADERSHIP▲ PROJECT▲
    • ‘QA팀 리더(Team Lead)’는 프로젝트와 제품·도메인에 대한 높은 이해와 리더십을 갖춘 전문가입니다. QA 팀원이 역량을 발휘하고 개발할 수 있도록 돕고, 프로젝트 관리와 프로젝트의 성공을 책임집니다.
  • PROJECT▲ PRODUCT·DOMAIN▲
    • ‘사업·상업 분석가(Business·Commercial Analyst)’는 비즈니스 및 상업 분야에서 분석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가로, 프로젝트와 제품·도메인에 대한 깊은 이해력과 분석 능력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모델 및 전략 수립, 시장 동향 분석, 경쟁사 분석 등을 수행합니다.

위와 같은 강점을 골고루 갖추면 훌륭한 QA 엔지니어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먼저 자신이 어떤 분야에 강점이 있는지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직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약점 분야를 보완하고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해야 합니다.

목표는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목표를 설정해 성과를 이루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반드시 모든 것을 잘해야 할까?”, “나는 잘 하는 분야가 없는데 어쩌지?”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 저도 그랬거든요. 누구도 완벽한 사람은 없습니다. 자신의 조건, 상황, 환경의 한계를 인정하면서, 단계별로 목표를 세워 차근차근 접근하면 조금씩 성장할 수 있습니다.

목표는 자신의 성격이나 주어진 환경을 고려해 약간 높게 설정합니다. 무엇보다 자신의 강점을 발휘하고 차별화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장기 목표를 한번에 이루기 어렵기 때문에 저는 5년 장기 목표를 1년 중간 목표로 나눠서 설정하고, 다시 분기별로 세분화된 단기 계획을 세웁니다. 환경 변화 등 유동성을 고려해 목표 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 역시 단기 목표를 이뤄가면서 5년 뒤 QA 엔지니어 전문가로 성장해 있기를 기대합니다.

3. 쏘카에서 마크탕은 계속 성장하고 있습니다.

쏘카 QA팀은 위 스킬 맵의 주요 항목을 단계별로 나누어 점수로 계산합니다. 점수를 측정할 때는 세분화해 상세하게 분석하는 것이 좋습니다. 객관적으로 측정된 점수(TL 혹은 동료 평가)는 개인 능력에 대한 판단이 아니라 목표 달성을 위한 중요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img

점수를 ‘매우 잘함 (5점)~들어만 봤음(1점)’으로 세분화해 다음과 같은 그래프로 가시화합니다.

img 이러한 목표 설정 방법은 각 팀원이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더욱 효과적인 업무 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팀 전체에서 목표 달성을 위한 공동의 노력을 도모할 수 있게 합니다. 또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각자 자신의 역량을 향상시키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집니다. 쏘카 QA팀은 이러한 목표 설정 방법을 통해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속적인 개선과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A. 마크탕의 현주소는?

저는 리더십과 제품·도메인 영역에 자신이 있지만, 전문 영역과 프로젝트 영역에서는 아직 부족합니다. 지난 5년간 업무에서 개발 기술보다 의사소통과 결함관리 스킬을 더 많이 사용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자신감을 가지고 저의 약점을 하나씩 개선하려고 합니다.

B. 마크탕의 목표는?

제 목표는 팔방미인입니다. 위 4가지 영역에서 모두 뛰어난 QA 엔지니어가 되는 것이 목표입니다.여러 가지 스킬을 한 번에 얻으려고 욕심내지 않고, 부족한 스킬을 하나씩 개선하면서 여러 개의 목표를 단계적으로 수립할 것입니다. 목표를 세울 때 첫 번째 단계는 자신의 강점과 개선할 점을 인지하는 것입니다. 자신을 잘 인식하면 목표를 향해 더욱 자신감 있게 나아갈 수 있습니다.

현재 목표는 올해 안에 자동화 테스트를 실무에서 사용할 정도로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주말에는 인프런에서 제공하는 Cypress 강의를 수강하면서 개발 기술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Cypress 강의를 듣고 복습 정리한 내용을 개인 블로그에 게시하고 있습니다. 각자 기호에 맞는 방법으로 역량을 키우시길 바랍니다.

img

직장에 취직하면서 공부는 끝이라고 생각했지만, 오히려 학교 다닐 때보다 더 많은 공부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낍니다. 배움에는 끝이 없다는 상투적인 격언이 인류의 응축된 지혜라는 걸 체감하고 있습니다. 제 개인 블로그에는 주로 의사소통 기술 관련 글을 올렸는데, 쏘카 테크 블로그에 개발 기술 내용을 처음 작성해 봅니다. 작은 목표를 조금씩 달성하다 보면 5년 뒤에는 저도 QA 분야의 팔방미인이 되어 있지 않을까요?

4. 마무리하며…

‘정보 공유’는 알고 있는 내용을 필요로 하는 누군가에게 전달하는 것입니다. 쉬운 일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잘못된 정보를 전달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항상 조심해야 합니다. 기업의 테크 블로그에 글을 쓰면서 평소보다 부담이 컸지만, 애매하게 알고 있던 정보를 학습하고 전달하는데 자신감을 갖게 됐습니다.

제가 쏘카를 선택한 이유는 “모든 사람이 자유롭고 행복하게 이동하는 세상을 만든다.” 는 쏘카의 미션 때문입니다. 구성원이 모두 각자의 자리에서 미션을 달성하기 위해 일사분란하게 노력하는 모습이 저에게도 동기부여가 됐습니다. 쏘카가 제공하는 서비스뿐 아니라, 쏘카 테크 블로그도 세상을 이롭게 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비록 글 쓰는 재능이 뛰어난 건 아니지만, 테크 블로그에 정보를 공유하는 기회는 저에게 큰 영광입니다. 이번 기회로 한 단계 성장한 것 같아 보람을 느꼈습니다. 다음에 더 좋은 내용으로 찾아 뵙겠습니다. 여기까지~ 마크탕이였습니다.!


참고 :

Redgate Test Engineering Skills Map : https://www.red-gate.com/blog/test-engineering-skills-map

ISTQB : https://www.istqb.org/

altexsoft skill map : https://www.altexsoft.com/blog/engineering/qa-engineering-roles-skills-tools-and-responsibilities-within-a-testing-team/

Product Domain : https://medium.com/serious-scrum/wtf-is-our-product-domain-633bd1fba3e5

Risk Management : https://www.ibm.com/docs/ko/elm/6.0.2?topic=plan-lesson-create-risk-assessment

planning : https://people.cs.pitt.edu/~chang/231/seminars/S06template/templates/qa-plan.html

BDD : https://www.popit.kr/bdd-behaviour-driven-development에-대한-간략한-정리/

ATDD : https://boorownie.github.io/1

카밀라가 작성한 테크 블로그 : https://tech.socarcorp.kr/qa/2022/03/18/probationary-period_QA.html

참고 서적 :

테스터와 관리자를 위한 소프트웨어 테스팅 실무 가이드 (TTA 신석규, 김진영, 박종민 공저)

무료 일러스트 : https://kr.freepik.com/free-vector/qa-engineers-concept-illustration_7119018.htm#query=softwareqa&position=3&from_view=search&track=ais (작가 storyset 출처 Freepik)